프로 블로거
소득있는 경우 국민연금 조기수령조건 본문
조기수령의 기본 자격 요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최소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2025년 기준으로 연령 조건도 충족해야 하는데, 출생연도에 따라 신청 가능 연령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1961년생부터는 만 63세가 정상수령 연령이므로, 최대 5년 전인 만 58세부터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과 제한사항
2025년 기준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산한 월평균 소득이 298만 9,237원을 초과하지 않아야 조기수령이 가능합니다. 이는 세후 기준으로, 세전 근로소득으로 환산하면 약 월 400만원 수준입니다. 만약 조기연금을 수령하던 중 월 소득이 이 기준을 초과하면 연금 지급이 중지됩니다.
감액률과 수령액 계산
조기수령을 선택하면 1년 앞당길 때마다 연 6%(월 0.5%)씩 연금액이 감액됩니다. 예를 들어:
- 5년 조기수령: 원래 금액의 70% 수령
- 3년 조기수령: 원래 금액의 82% 수령
- 1년 조기수령: 원래 금액의 94% 수령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과의 관계
조기수령을 고려할 때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도 함께 검토해야 합니다. 국민연금을 포함한 연간 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거나, 재산과표가 5.4억~9억원인 경우 피부양자 자격에서 탈락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준을 고려하여 조기수령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노후 생활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조기수령으로 인한 연금액 감소와 기대수명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72세 이상 생존할 경우 정상수령이 더 유리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개인의 건강상태와 재정상황을 충분히 검토한 후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